본문 바로가기

정보이야기

역류성식도염 증상과 치료방법

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이란 의학적으로는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올라오는 역류현상을 일으키는 위 식도 역류 질환의 일부입니다. 특히 문제가 되는것은 위산인데요. 위산은 매우 강력한 산성성분이기 때문에 이런 위산이 식도를 타고 거꾸로 올라오면 강한 산성을 가신 위산을 버틸수가 없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역류성식도염증상역류성식도염증상역류성식도염증상

 

위 식도 역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위 내시경을 실시하여, 식도염의 소견이 있는 경우라면 역류성 식도염이라 부르고, 식도염의 소견이 없는 경우라면 비 미란성 역류질환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 역류성 식도염을 위 식도 역류 질환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라고 하면 속끄림과 함께, 위산의 역류, 소화불량 등 입니다. 그 밖에도 만성적인 마른기침, 쉰 목소리, 목의 이물감, 가슴통증, 기관지 천식 등과 같은 식도 외의 증상들도 함께 발생하는데요. 그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상 속이 쓰리다 

- 트림을 자주 하고, 신물이 넘어온다 

-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안된다 

- 기침이 잦고, 쉰 목소리가 난다 

- 가슴이 답답하고 통증이 있다 

 

속쓰림의 경우, 역류성 식도염 이 외에도,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 등의 질환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인데요.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속쓰림의 경우는 보통 식사 후, 특히 과식하거나 기름진 음식, 자극적인 음식을 먹었을때 자주 나타나며, 속쓰림이 등으로 뻗어나가는 증상도 있습니다. 

 

또한 이런 증상이 있을때, 물을 마시거나, 제산제를 복용하면 그 증상이 금방 회복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역류성식도염역류성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방법은?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 주로 생활습관에 의해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보존적인 치료 중에서도 약물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두 가지의 방법으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교정

 

- 체중감량 : 복압을 줄이기 위해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해야 합니다. 

- 금연 : 흡연을 하게 되면, 식도 괄약근이 이완되기 때문에 필히 금연해야 합니다. 

- 금주 : 하부식도 괄약근의 강도를 높이고, 식도의 연동운동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금주가 필요합니다. 

- 식습관 조절 : 기름진 음식이나, 카페인음식, 오렌지 주스 또는 산도가 있는 음식들을 피해 주어야 합니다. 

- 식사 후 절대 눕지 않아야 합니다. 

- 소량씩 자주 먹고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할것을 권해드리며,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위주로 섭취할것을 권장합니다. 

- 과식하지 않고, 취침전 3시간 이내에는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습니다. 

- 식사동안 타액이 음식에 적절하게 첨가되어 소화가 잘 될 수 있도록 천천히 꼭꼭 씹어먹는 습관을 들입니다. 

-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 침대의 머리 부분을 올려주면 위산이 역류하는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습니다 .

 

역류성식도염역류성식도염역류성식도염증상

 

약물을 통한 치료 

 

위와 같이 비 약물적인 치료를 통해서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라면, 약물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주로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하게 됩니다. 

 

식사시간 후 또는 수면시간에 제산제를 복용함으로서 위산의 분비물을 중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며, 식도 아래의 괄약근의 압력을 증가시켜 역류를 제지하는 약을 사용하는 방법또한 있습니다. 

 

신트림이나 삼킬때 어려움으로 인한 통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국소 마취제 형태의 약물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역류성 식도염이 아주 심한 경우라면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법이 사용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