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 있고 운전을 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알아야 할 것들 중 하나가 바로 이 타이어입니다. 물론 자동차를 운행함에 있어서 타이어 외에도 많은것들이 중요한 부분들입니다만, 특히 안전과 관련해서 굉장히 중요한것이 바로 이 타이어인데요.
그렇지만 너무 복잡하고 알기 어렵다는 이유로 펑크날때까지 그냥 타고 다니는 분들도 있고, 타이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없으신분들도 계실거라 생각되요.
하지만! 타이어는 우리의 목숨을 싣고 다니는 자동차인 만큼 엄청나게 중요한 부분인데요.
오늘은 이 타이어의 교체시기와 공기압 등, 타이어에 대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타이어의 교체시기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가능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주행거리가 얼마나 되느냐이고요. 두번째는 생산일로부터 얼마나 지났는가로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어쨋든 타이어는 생산연도 이래로 장착을 하게 되면 일정 기간동안 주행을 하게 되어있는데요. 둘 중 먼저 도래되는 것을 기준으로 교환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1)주행거리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기 확인
어느정도의 주행거리 이후에는 타이어를 교환해야 한다는 절대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이유는 주행하는 환경도 다르고, 사람에 따라서 주행 습관도 틀리기 때문입니다.
다만 평균적인 거리를 보았을때는 주행이 거칠지 않고, 평범한 주행을 했을때는 약 6만km, 평소 운전습관이 급출발이나 급가속을 하거나 주행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는 3~4만 km에서 교환하는것을 권장합니다.
주행거리로 따질때에는 마모 한계선을 잘 보셔야 하는데요.
보시는것처럼 타이어에는 저렇게 마모 한계선이라는것이 존재합니다. 만약 타이어 외부가 닳아 마모 한계선 까지 다다르게 된다면 무조건 교환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2) 제조일자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기 확인
타이어의 제조 일자에 따라서도 교체시기를 어느정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아시다 시피 타이어는 고무로 만들어져있는데요. 생산일자가 너무 오래되면 타이어에 있는 기름기가 모두 빠져 타이어가 재 기능을 못할 뿐더러 금방 마모되어 위험해지기 때문인데요.
이 때문에 본인이 타고 있는 차량의 타이어 제조일자를 알고 있는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제조일자 확인하는 방법
보시는것처럼 모든 타이어에는 제조일이 표기되어있는데요. 보통의 공산품이나 음식들처럼 연,월,일로 표기되어있지는 않습니다. 위 사진처럼 2121을 예로 든다면 21주21년 즉 21년도 21주차에 생산된 제품이라는 뜻이죠.
대략 1년을 52주 정도로 볼때, 앞 21 * 7을 해보시면 몇월정도에 생산을 했다는 것이 나오죠?
모든 타이어에는 위 사진처럼 DOT 뒤에 저런식으로 숫자가 표기되어있을겁니다. 보통 생산일 이후부터 아무리 운행이 적더라도 4~5년 후에는 교체가 필요합니다.
즉, 주행거리가 1~2만km에 불과하더라도 타이어 생산일자가 5년정도가 넘었다고 하면 교체시기가 된 것이죠.
단! 타이어의 표면이 경화가 진행되어 가로로 경화가 시작된것이 보인다면 즉시 교체해주실것을 권해드립니다.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내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알기 위해서는 장착되어있는 타이어의 공기압 최대치를 알고 계셔야 하는데요. 많은 분들이 이걸 어떻게 알고 있냐고 말씀하실수도 습니다.
하지만~! 타이어 메이커에서는 이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 또한 타이어에 따로 표기를 해 두고 있습니다.
내 타이어의 공기압 최대치를 알아야 합니다~!!
보시는것처럼 모든 타이어에는 타이어의 재원에 대해서 나오는데요. MAX PRESS 51PSI라고 표기된것이 보이시죠? 바로 이것이 이 타이어의 최대 공기압인데요.
보통 적정 공기압의 경우는 최대 공기압의 약 80%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로 위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은 약 40Psi 정도가 됩니다.
물론 주의하셔야 할 것은 여름철과 겨울철의 공기압인데요.
여름철의 경우에는 온도가 높아지고, 지면의 온도가 높아지는데요. 이 때문에 평소보다 더 적게 공기를 주입해야 하는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하실테지만 이는 아닙니다. 낮에는 공기가 팽창하고, 밤에는 약간 줄어드는 것을 감안해서 약 5%정도 공기를 더 주입해주어야 합니다.
겨울철의 경우에는 반대로, 온도가 내려가고, 지면의 온도도 낮아지는데요. 이 때문에 여름철보다는 좀 더 많은 10%정도를 더 주입해주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타이어에 주입되는 공기는 기본적으로 주행으로 인해서 팽창과 응축을 반복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공기가 자연적으로 빠질수 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겨울과 여름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더 주입해야 하는것이므로, 꼭 기억해주시길 바랍니다.
내 타이어의 제원도 알고 있으면 더 좋다
보통 타이어의 제원은 위 사진처럼 표기되어있습니다. 한 번 예를 들어 볼께요 위 사진을 보면 315/30R21 이라고 표기가 되어있는데요.
1. 총지름 : 315 는 이 타이어의 총 지름을 뜻합니다.
2. 단면 높이 : 30R은 이 타이어의 휠 모서리부터 타이어의 끝 부분가지의 거리, 즉 단면 높이를 뜻하는것이고요
3. 휠지름 : 21은 이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의 지름을 뜻합니다.
위 그림을 보면 조금 더 잘 알 수 있겠죠? 모든 타이어의 제원은 이런식으로 표기되기 때문에 평소에 내 차에 사용되는 타이어의 제원을 알고 있으시다면 다음번에 타이어를 교체할때 훨씬 편리하게 타이어를 고를 수 있습니다.
하중지수와 속도지수 도 있어요~!!
보시는것처럼 기본적인 제원 이 외에도 하중지수와 속도지수 라는것이 별도로 표기되어있습니다. 앞의 숫자는 하중지수, 뒤의 알파벳은 속도지수의 조합으로 표기되는데요.
간단히 말씀드리면
※하중지수 - 타이어 한 개당 운반할 수 있는 최대 하중
※속도지수 - 타이어의 하중지수에 관해서 해당 타이어가 해당되는 하중을 운반할 수 있는 속도를 뜻합니다.
위의 표를 근거로 계산해 본다면 105V 라면, 타이어 하나당 925kg 이므로, 총 3.7t의 무게를 견딜수 있다는 뜻이며 이를 운반할 수 있는 속도의 능력치는 240km라는 뜻이되죠.
보통 V이상의 속도지수가 붙는 차량의 경우는 상당히 고성능이라는 뜻이되겠죠?
보통 하중지수와 속도지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운전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크게 신경쓰지 않으실거라 생각됩니다. 사실상 꼭 알고 있지 않아도 되는 부분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내 차에 장착되는것이니 만큼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되었으면 되었지, 손해가 되지는 않을거라 생각해요.
오늘은 타이어의 교체시기와 더불어 제원확인하는 방법과 공기압 등 전반적인것을 확인해보았는데요.
타이어는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는대다가 가격도 그리 만만치 않은것이라서 귀찮게 여기거나 돈이 아까워서 그 시기를 놓치는 경우를 종종 보았습니다.
하지만, 자동차에 있어서 타이어는 우리가 생각하는것 이상으로 매우매우 중요한것이며 이는 몇번을 말해도 부족하다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우리의 생명을 맞기고 타고 다니는것이기 때문에 몇번을 말해도 입이 아플 정도죠.
우리의 안전을 위해서라면 안전운행과 더불어서 타이어에도 늘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정보이야기] - 속도위반 실시간 조회 이파인으로 간편하게
속도위반 실시간 조회 이파인으로 간편하게
속도위반은 주정차 위반과 더불어 가장 많은 사람들이 실수를 하게 되는 위반사항인데요. 운전 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아시겠지만, 속도위반을 하게 되면, 어느정도는 운전을 하면서 위반 여부
first.betashot.net
[정보이야기] - 주차단속 알림서비스 및 문자서비스 신청방법 간단해요
주차단속 알림서비스 및 문자서비스 신청방법 간단해요
주차는 주차장에 올바르게 해야 합니다. 또한 주.정차를 할 수 있는곳에 법을 어기지 않는 선에서 해야 합니다. 하지만 피치 못할 사정으로 주.정차를 잠시나마 하게 될 경우 단속을 당하지않을
first.betashot.net
2022 전기차 보조금 거의 확정적
많은 국가에서 미래를 내다보고 친환경 차량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가장 우리와 근접해있는 차량들이 전기차인데요. 이제는 생산되는 차량의 일정 비율을 전기차를 만들도
first.betashot.net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운세 무료로 보는 방법 (0) | 2022.01.03 |
---|---|
전국 사적모임 몇명까지? 사회적거리두기 다시 강화되었어요 (0) | 2021.12.20 |
수족냉증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1.12.16 |
속도위반 실시간 조회 이파인으로 간편하게 (0) | 2021.12.13 |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과 신청방법 정리 (0) | 2021.12.08 |